본문 바로가기
  • 일상생활의 탈출
부동산/건축자재

석고보드 시공

by 무지개아저씨 2012. 3. 22.

석고보드



1. 석고의 역사

석고는 기원전 3,000년경 이집트 시대로부터 인류에 의해 사용된 자취가 남아 있는데 주로 석고 프라스터를 이용한 성벽장식 피라미드의 보르타르 내부 장식벽이 있으며 석고의 단결정을 응용한 창유리 공예품 등이 사용된 예로 볼 수 있다. 석고의 산지는 미국, 캐나다, 프랑스, 호주, 태국, 중국 등지에서 주로 생산되며 전 세계로 공급되고 있다.

한국에서는 60년대 말 대단위의 화학 비료 공장이 가동되면서 이들 인산공정 중에 화학 석고가 산업폐기물로 부산되기 시작되어 이를 이용한 석고산업이 본격적으로 활동하게 된다. 당시 국내 시멘트 제조용 원료로 천연 석고의 수입에 의존하던 상황에서 인산 부산석고의 생성은 수입 대체 효과뿐만 아니라 기타 산업에도 큰 영향을 발휘하게 되었다. 현재에 이르러 인산부산석고는 170만톤/년 규모로 양적인 증가로 환경등의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으나 공업용, 건축자재용 농업용 등으로 활용되어 그 기능을 높여오고 있다. 


2. 국내 석고의 종류

1) 천연 석고 : 유산염의 광물인 석고광석을 채취하여 석회석을 가루로 만든 다음 고열 처리를 하여 얻어진다.

2) 배연 탈황 석고 : 화력 발전소 연로 연소 시 대기중에 방출되는 황성분(SO3) 연소후 대기중에 배출되기 직전 석회석으로 흡수시켜 만든 부산물이다. 현재 한국 전력에 2001년 현재 10여개 화력발전소에 총 30여기에서 석고를 생산 중에 있다.

3) 화학 석고 : 인광석에서 인축출 후 남은 부산물로 생산


3. 석고보드의 종류

일반석고보드, 방수석고보드, 방화석고보드, 방균석고보드, 방화방수석고보드, 차음석고보드.


4. 석고보드의 형태에 따른 분류

1) 평보드 : 가장 대표적인 형태의 석고보드로 양단이 직각으로 되어있고 시공 후 수축?변형이 없어 평활한 면을 유지하므로 벽, 천장, 칸막이 등에 사용

2) 테파드보드 : 조인트 콤파운드와 조인트 테이프를 사용하여 이음매 처리를 말끔하게 할 수 있는 일매 이음매를 처리용으로 양단을 경사지게 성형한 석고보드.

3) 베벨보드 : 보드의 길이방향 양면으로 45도 경사지게 하여 이음매 부분을 효율적이고 경제적으로 시공할 수 있게 만든 보드.


5. 석고보드의 특성

1) 단열성 : 석고 자체는 열전도율(0.14kcal/m2h℃)이 낮고 습도 자율 조절기능까지 갖고 있어 여름과 겨울에 덥고 찬공기를 차단하여 열전도율을 높여준다.

2) 방균성 : 석고는 바퀴벌레, 쥐, 개미 등이 싫어하는 황산칼슘이 주성분이므로 이들 해충의 서식이나 접근을 막아주고 곰팡이를 억제하는 기능이 있어 쾌적한 실내 환경을 유지한다.

3) 차음성 : 석고보드는 종이와 석고의 복합 재료로서 동중량의 다른 자재에 비해 소음을 차단하는 차음성능이 뛰어나다.

4) 내진성 : 건식 공법으로 내진구조, 비구조재에 적합하여 지진 시에도 전도 및 파괴 현상을 막아주고 충격을 흡수하는 내진구조에 우수하다.

5) 경제성 : 시공이 간편하며 공기를 단축할 수 있고 재질의 중량이 가벼워 시공비, 건물의 주조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다른 벽체에 비해 사용면적이 넓어져 공간을 최대로 이용할 수 있다. 

6) 방화성 : 석고에 자체 중량의 약 21%에 결정수가 함유되어 있어 화재 발생시 초기 화재 진압에 큰 효과를 발휘하며 무기질 성분이라 유독가스가 발생하지 않는다.

7) 치수안정성 : 석고 자체는 안정된 결정상태를 지니고 있어 습도?온도 변화에 대한 안정성이 있고 시공후에도 뒤틀림, 처짐등의 변형의 염려가 없다.


6. 석고보드 시공법

1) 본드공법 : 큰크리트벽, 조적등에 석고보드를 이용하여 직접 석고보드를 붙이는 공법

(1) 용도 및 특성

- 건축물의 외벽 안쪽 기타 모든 벽체의 마감시에 사용된다.

- 시공이 간편하여공기가 단축된다.

- 외벽쪼의 기둥이나 시공할 경우 결로 방지.

- 마감면이 고르고 평활하다.

(2)시공순서

하지청소 → 수평 맞추기 → 석고보드 절단 및 가공 → 석고보드 반죽 → 마감작업

보드 상단 중앙부 300~350mm

하단 중앙부 200~250mm

보드 가장 자리부 100~150mm

2) 목재 바탕 칸막이 공법

경량 철골 대신 목재를 사용하는 비내력 설치 공법으로 염분이 많은 해안가 등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내구성, 강도 및 방화 차음성이 우수한 공법이다.

(1) 용도 및 특성

- 경량의 내력벽 및 비내력 벽체로서 주거용, 사업용, 공공건물의 모든 내벽에 널리 이용할 수 있다.

- 방화 차음성이 우수하여 경제적, 단시간에 설치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2) 시공순서

벽위치 설치 → 심재 세우기 → 하지보드 붙이기 → 마감처리

3) 목재 심재 세우기

(1) 벽체의 중심선에 따라 샛기둥(60mm×45mm)을 455mm 간격으로 깨워 바탕을 만든다.

(2) 샛기둥(90mm×45mm)을 303mm 간격으로 세우는 바탕공법도 많이 사용된다.

(3) 벽의 높이가 2,730mm(9자) 이상의 벽체 경우는 링揚?휨을 방지하기 위해 샛기둥 사이에 받침대를 끼운다. 


4) 석고보드 천정시공

(1) 용도 및 특성

아파트, 주택등과 같이 비교적 층고가 낮고 상부 스래부와 반라사이에 서비스 설비를 위한 공간을 필요하지 않는 건축물에 사용된다. 따라서 석고보드와 목재 사이는 항상 건조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2) 시공법

① 천정 바탕면에 미리 설치된 나무 앵커에 달 때 목재용 나사못을 사용하고 구조 목재 45mm×45mm 치수의 구조재를 가로 방향으로 450mm 간격으로 고정하고 모든 석고보드의 이음매가 목조 주조체위에 올 수있도록 세로 방향으로 폭을 고려하여 최대 900mm 간격으로 보강 목재를 설치한다.

② 석고보드를 목재 구조체에 수직방향 40mm 목재용 나사못을 사용하여 300mm 간격으로 고정한다.(두겹 시공시 바탕석고보드와 마감석고보드는 이음매가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하고 57mm 목재용 나사못을 사용하여 고정한다. 

③ 단열 및 차음 성능 확보를 위해 모든 못머리 및 이음매 부위는 조인트 컴파운드와 조인트 테이프를 사용하여 처리해야 한다.


댓글